[인공지능 주식매매] 미수 가능 금액 계산법

1. 현금 매수 가능 금액 계산
미수거래를 하지 않고 현금 매매만 하는 경우라면 매수 가능 금액 계산은 매우 간단하다.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 금액에서 매수한 주식의 단가에 수량을 곱해 얻은 금액을 빼면 현재의 매수 가능 금액이 나온다. 자동 매매 프로그램 구현시 매수 가능 금액을 api를 통해 그때 그때 확인 가능하지만 촌각을 다투는 단기투자 매매시에는 매수 가능 금액 확인을 위해 쿼리를 보내고 받기 위해 소모하는 시간은 매우 아까울 수 밖에 없다. 실시간 매매시 매수 가능 금액은 항상 내부 연산을 통해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2. 미수 거래시 매수 가능 금액
미수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매수가능 금액 계산이 현금 거래만을 하는 경우 보다 좀 더 복잡하다. 예를들어 동일한 단가의 주식을 동일한 수량만큼 매수한 경우에도 매수 이후 미수를 통해 매수 가능한 금액이 차이 날 수 있다. 이는 각 종목별 증거금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만약 증거금 비율이 100%인 종목을 매수하여 모든 현금을 소진하였다면 추가 매수 가능한 금액은 0원이 남게 된다. 이는 해당 주식을 사는데 100% 다 현금으로 사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같이 증거금 비율이 20%로 매우 낮은 종목을 매수하게 되면 해당 종목 100%를 20%의 현금만으로 살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가 10억이 있고 20% 증거금 비율을 가진 삼성전자를 10억원어치 매수 하였다면 현재 내가 보유한 매수 가능 현금이 아직 8억원이 남아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 보유 중인 10억의 현금은 모두 소진된 것으로 나오겠지만 8억원만큼을 미수거래로 추가 매수 가능하다.
: 10억 - (10억 X 20% / 100%) = 8억

[신규 매수 이후 매수 가능 금액 계산법]
: 보유 현금 - (신규 매수 금액 X 증거금 비율/100%)

반응형

댓글()